Quantcast
Channel: Clearboth » Browser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2

일반적인 웹 사용자를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빠져나오게 하려면 어떻게 설득해야 할까요?

0
0

How do you convince the average web user to switch to a non-IE browser?

As web designers and developers, we love to see how our sites and web apps look and function using a really good browser.

우리는 웹 디자이너, 그리고 개발자로서, 우리가 만든 사이트와 웹 어플리케이션들이 가급적 좋은 브라우저에서 돌아가는 것을 보고 싶어합니다.

It’s true that with the release of IE9, Microsoft has made great progress in the so-called browser wars. And although IE9 is a fast and reliable browser that has pretty good support for CSS3 and HTML5, there are still quite a few missing technologies that we all would like to see in Internet Explorer soon.

IE9(Internet Explorer 9)를 내놓으면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소위 웹 브라우저 전쟁에서 큰 발전을 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IE9가 빠르고, CSS3와 HTML5를 제법 잘 지원하는 웹브라우저이긴 합니다만, 우리 모두가 IE에서 곧 볼 수 있으리라 기대하는 기술들이 아직은 조금 빠져 있는 상태입니다.

But the reality is that while we as developers know that the user experience is greatly improved when a site is viewed in Chrome, Opera, Safari, or even Firefox, our users are not aware of this. And it’s sad to say that it will still be a very long time before developers can say that we’re happy with the state of browser usage stats for our client projects.

우리 개발자들이 알고 있듯이, 우리의 사이트들은 크롬, 오페라, 사파리, 혹은 파이어폭스를 사용할 때 UX(User Experience)가 크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말이죠, 사용자들이 이런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이런 말 하기는 좀 슬프지만요, 브라우저 점유율 통계가 프로젝트(Client Project)를 하기에 괜찮은 상황이네, 라고 할 수 있기까지는 아직도 한참 멀었다는 것입니다.

Personally, I always do what I can to promote the good browsers. If I see someone using an older version of Internet Explorer, I will gladly tell them to upgrade to the latest version of IE or try out something like Google Chrome instead.

개인적으로, 전 제가 할 수 있는 한 좋은 브라우저에 대해 홍보하고 있습니다. 만약 누군가 구버전의 오래된 IE를 사용하는 것을 본다면, 전 기쁘게 이야기 할거에요. “이야 많이 낡았네. IE를 최신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게 어때요? 뭐.. 아니라면 다른 것들, 구글 크롬 같은 건 어떤가요?”

I had this experience recently when I went to my friend Alex’s home for dinner. He was showing me some stuff on his computer on IE8, and I tactfully asked him if he’d ever tried Google Chrome. From there, things got interesting, and I decided to take some notes and share the experience.

최근에도 좋은 브라우저를 홍보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제 친구 알렉스의 집으로 저녁을 먹으러 갔을 때였어요. 그 친구는 저에게 컴퓨터에서 IE8을 이용해 몇 가지를 보여주려던 참이었습니다. 저는 구글 크롬을 써본 적이 있느냐고 재빠르게 물었어요. 그 과정에서 저는 흥미로운 점들을 느꼈고, 노트를 기록해서 사람들에게 알려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Why do you use Internet Explorer?”

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나요?

One of the first things I did was ask Alex some questions about his feelings towards browsing the web, and the software he uses. I wanted to know exactly what he was thinking, and how he would feel about the possibility of accessing the web using a different piece of software. (Keep in mind that although I’m presenting the account below in dialogue, this is merely a paraphrase of our conversation, gleaned from my memory and the notes I took; Yes, I have an iPhone and I could have recorded this, but it was extremely informal and I didn’t even think much of it at the time).

제가 가장 먼저 했던 것 중 하나는, 알렉스에게 웹브라우징과 그가 쓰는 프로그램에 대한 생각을 물어보는 것이었습니다. 그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그리고 다른 소프트웨어를 통해서도 웹에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일지, 저는 정확히 알고 싶었어요. (아래의 대화는 제 기억과 노트를 기반해서 옮긴 것임을 알립니다. 네, 갖고 있던 아이폰으로 녹음을 할 수도 있었지만, 그 땐 꽤 사적인 자리였고 미처 생각이 거기까지 미치지 못했네요.)

“Why do you use Internet Explorer? Do you know that there are other options for browsers?”, I asked.

왜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는거지? 혹시 다른 브라우저들도 있다는 건 알고 있니? 라고 전 물었습니다.

“No, not really. As far as I’m concerned, when I access the internet, I just need to click on the big blue ‘e’ and do a search. I don’t know why I would use anything else.”

아니, 잘 모르겠는데. 그냥 인터넷을 쓸 때는, 크고 파란 아이콘(IE아이콘)을 클릭하고, 그리고 나선 그냥 검색을 했지. 그거 말고 다른 걸 써야하는 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라고 그가 답했습니다.

“What does the ‘e’ stand for, Alex?”

알렉스, 그 ‘e’가 의미하는게 뭐야?

“The ‘e’ stands for ‘internet’”, he replied.

그가 답했습니다. “인터넷이지.”

왜 이 똑똑한 사람들이 파랗고 큰 'e'를 인터넷으로 생각하는걸까요.

At this point, it was clear that Alex does not understand the fundamentals of online technology and software.

알렉스는 온라인 테크놀로지와 소프트웨어의 기본에 대해 잘 모르는 것이 분명했습니다.

I’m sure many web developers have had similar conversations with clients or friends who think the big blue “e” stands for “internet”–this despite the fact that they know that they’re using something called “Internet Explorer”. I knew this was going to be an amusing few minutes, so I started to probe further.

많은 웹 개발자들이 고객(Client)이나 친구들과 비슷한 대화를 해봤을 거라 확신합니다. 그 사람들은 파랗고 큰 ‘e’가 ‘인터넷’을 뜻한다고 생각하죠. 사실은 Internet Explorer인데도 말입니다. 앞으로 몇 분간은 제법 즐거운 시간이 될 것 같았고, 그래서 조금 더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Have you ever heard of Google Chrome?”

“그럼, ‘구글 크롬’은 들어봤어?”

“No. What is it?”

“아니, 그게 뭔데?”

“It’s another web browser, like Internet Explorer, except it’s faster and gives you a larger viewing area. Why don’t you install it and try it out?”

“크롬도 인터넷 익스플로러 같은 웹브라우저야. 대신 익스플로러보다 더 빠르고, 더 넓은 화면을 제공해 준다고. 한 번 써 보는게 어때?”

Alex complied with my request and he went through the steps of installing and testing Chrome. I eagerly watched and wrote down anything significant that occurred.

알렉스는 내 제안을 수용했고, 몇 단계를 거쳐 크롬을 설치하고 실행해 보았습니다. 저는 집중해서 그 광경을 관찰하고 캐치할 만한 것들을 메모했죠.

크롬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는 건 굉장히 쉬웠습니다.

I helped him get to the Google Chrome download page, and he went through the steps. They’re pretty simple, so he didn’t have much trouble with that. When the installation completed, Chrome opened, and was ready to use. I didn’t say anything, just to see what he would do.

전 그가 구글 크롬 다운로드 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그 때부터는 스스로 진행했습니다. 다운로드 페이지는 무척 간단해서, 진행하는데 별 막힘이 없었습니다. 설치가 끝나고, 크롬이 실행되었고, 써 볼 준비가 되었죠. 저는 아무 말도 하지 않은 채, 그저 그가 사용하는 것을 지켜봤습니다.

In his installation, there was a blank tab open and a message pointing to the address bar. The message explained that search terms could be entered directly into the address bar. Alex did not seem to notice this message. (As a side point here, when I re-installed Chrome to get these screenshots, I didn’t see that message, but that could be because I kept my browsing data intact upon uninstalling Chrome). To him, the message was like a banner ad; he ignored it, and (amazingly) went straight for the “x” in the top right corner, closing the browser. He obviously had no idea that Chrome had launched. He saw something new and assumed it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thought best to close it.

설치 과정에서, 빈 탭이 열렸고 메세지가 주소창을 가리키고 있었습니다. 메세지는 주소창을 통해 바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알렉스는 그 메세지를 별로 신경쓰지 않는 것 같았어요. (사족을 달자면, 스크린샷을 찍으려고 제가 다시 설치해봤는데, 그 메세지는 뜨지 않았습니다. 아마 크롬을 제거할 때 설치 기록이 남았던것 같아요) 그에게는 메세지가 마치 광고배너 같았던 지, 그냥 무시해버렸습니다. 그리고는 (놀랍게도) 마우스를 오른쪽 위로 가져가더니, 브라우저를 닫아버렸습니다. 그는 분명히 크롬이 실행되지 않았다고 생각한 겁니다. 그냥 설치과정중에 뭔가 떴으니, 닫아버리는게 좋겠다고 생각한 것이었습니다.

I directed him to his desktop to use the shortcut to reopen Chrome. I honestly think that if I had left him after he closed the window, he would have never found the shortcut himself and would have went straight for the big blue “e” instead, thinking that the “e” had now been upgraded to “Chrome”. But as things progressed, I was slowly beginning to realize it was actually worse than that.

저는 바탕화면에서 크롬 바로가기 아이콘을 눌러 다시 실행되도록 해주었습니다. 솔직히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제가 가고 난 뒤엔 그는 크롬 실행 아이콘을 영원히 못찾을 것이고, 대신에 다시 큰 파란 아이콘을 사용하겠죠. 그리고는 크롬을 설치했다는 사실은 잊어버릴겁니다. 하지만 상황이 진행되면서 깨닫게 되었습니다. 실제로는 훨씬 더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Web developers don’t like Internet Explorer”

“웹개발자들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좋아하지 않아요.”

Early in this process, I explained to him that web developers in general (unless they work for Microsoft) don’t like it when users view their pages using Internet Explorer. What was his response?

이 과정 초기에, 저는 일반적으로 웹 개발자들이 (최소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하는 사람이 아닌 이상) 사람들이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웹페이지를 보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설명해주었습니다. 그가 어떤 반응을 보였냐구요?

“I don’t use Internet Explorer; I use Google.”

“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쓰지 않아. 구글을 쓰지.”

Oh, dear.

오, 이런.

I tried to explain why what he said was a non sequitur.

전 그의 대답이 말이 안되는 이유를 설명해주려고 노력했습니다.

“Internet Explorer is a web browser; Google is a Search Engine,” I told him.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웹브라우저잖아, 구글은 검색사이트야.”

“You lost me.”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는데.”

I couldn’t control my laughter. In his mi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 web browser and a search engine. This conversation was becoming eerily reminiscent of the now-infamous YouTube video (see below) that shows people on the streets of New York City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a web browser?” The answers ranged from ridiculous to the almost incoherent. My friend Alex was (still is?) not much different, viewing “browser” and “search engine” as interchangeable terms.

전 웃음을 참기 어려웠습니다. 그의 머릿속에서는 웹브라우저와 검색사이트는 서로 똑같은 것이었습니다. 이 대화는 (이제는 악명높은) 유튜브 비디오 하나를 연상케 했습니다.(링크를 참조하세요) 그 것은 뉴욕시 길거리에서 사람들에게 질문을 묻는 내용의 비디오였습니다. ‘웹 브라우저가 뭔지 아시나요?’ 답변은 거의 정답인 것부터 시작해서 완전히 말도 안되는 것까지 다양했습니다. 당시 내 친구 알렉스는 그와 다를 바가 없었습니다. (설마 지금까지도?) 브라우저를 쓰는 것과 검색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을 서로 같은 의미라고 알고 있었죠.

영상에 나오는 몇가지 대답들::

  • “A website you can search on.”
  • “검색할 수 있는 웹사이트요”
  • “A search engine.”
  • “검색 엔진이요.”
  • “It’s where you put your search terms.”
  •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죠.”
  • “Google.”
  • “구글이요.”
  • “The Yahoo!
  • “야후요!

Continuing with this theme of “browser = search engine”, at one point during my experience with Alex, I asked him to explain to me exactly what we were doing by installing Chrome. He told me that from his understanding, Chrome was a faster version of Google.

“브라우저 = 검색사이트” 공식 이야기를 좀 더 해보죠. 이 시점에서 저는 알렉스에게 그럼 우리가 뭘 하려고 크롬을 설치했던 것인지 설명해달라고 했습니다. 그는 그가 이해한 것을 말해주었습니다. 크롬은 구글의 좀 더 빠른 버전이라고.

But Alex is not alone in viewing “browser” and “search engine” as interchangeable terms. According to the video, less than 8% of users interviewed on that day knew what a browser was. Having seen the video, my experience with Alex was amusing but really not that surprising. But we weren’t done yet.

하지만 “브라우저”와 “검색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을 혼동하는 것은 알렉스 뿐만이 아닙니다. 아까의 비디오에서는 종일 인터뷰 했던 사람들 중에 오직 8% 미만이 브라우저가 무엇인지 알고 있었습니다. 그 비디오를 생각해 봤을 때, 알렉스와의 에피소드는 신선하지만, 놀라울 것은 아니었습니다. 다만 그 에피소드가 여기서 끝난 것이 아니었죠.

“What do you think of Chrome?”

“크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해?”

Having installed Chrome, I asked him to give me his opinion on it. He didn’t comment on the fact that it provided more screen real estate for viewing. He instead pointed out some of the “problems” that he noticed.

크롬을 설치했기에, 저는 그에게 그에 대한 의견을 물었습니다. 그는 크롬이 좀 더 넓은 화면을 제공한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대신에 그가 느낀 몇 가지 거슬리는 점들을 말했죠.

“Where’s the little arrow?” He asked.

“대체 작은 화살표는 어디에 있는거야?” 그가 물었습니다.

“What arrow?”

“무슨 화살표?”

“The little arrow that lets me view the different sites I’ve visited before so I don’t have to type them in again.”

“작은 화살표 말이야. 내가 방문했던 다른 사이트들을 보여주는 화살표. 그걸 쓰면 이미 방문한 사이트는 다시 입력하지 않아도 되잖아.”

알렉스는 분명 IE8에서 비슷한 기능을 좋아했습니다.

“Oh, that arrow. Okay, fair point. What else?”

“아 그 화살표. 그래, 좋은 지적이야. 그 밖에 다른 건?”

“I don’t see the search box in the top right corner. Where would I do my search?”

“오른쪽 위에 있는 검색창이 보이지가 않아. 검색을 하려면 어디서 해야 하지?”

Alex knows (or at least, I assume he knows) that he could just go straight to Google.com and type his search terms. But he was accustomed to using the search box that appears by default in the top right corner of IE8, so he found this a bit disappointing.

알렉스는 그가 직접 Google.com에 가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최소한 내 생각엔 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는 IE8에서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검색창이 익숙한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검색창이 보이지 않자 조금 실망했던 겁니다.

I explained to him that when he had installed Chrome, there was a message that pointed out quite clearly that he could conduct all his searches straight from the address bar. He didn’t remember seeing the message, but was relieved to know that he could still search from the browser window without having to visit Google.com first.

그래서 저는 설명했습니다. 크롬을 설치 할 때, 모든 검색을 그냥 주소창에서 할 수 있다는 걸 분명히 가르쳐주는 알림 메세지가 있지 않았었냐고. 그는 그 메세지를 기억하지 못했습니다. 대신에 Google.com에 접속하지 않아도 바로 브라우저로 검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서는 안도했죠.

For a few minutes we did some stuff using Chrome. We watched some videos, we did some searches. We were actually doing some legitimate stuff, not just browsing for browsing’s sake. He didn’t seem that impressed with the speed. He didn’t think there was much of a difference.

우리는 몇 분에 걸쳐서 계속 크롬을 써봤습니다. 동영상도 좀 보고, 검색도 좀 했지요. 우리는 브라우저 기능을 위주로 보지 않은채, 실제로 웹서핑 하듯이 사용해 봤습니다. 그는 속도에는 별다른 인상을 받지 않은 것 같았습니다. 그는 별 차이점이 있다고 느끼지 못했습니다.

One thing that did happen was something that I personally find happens occasionally with Chrome: Once in a while a page will stop responding, and it will only start again if the page is refreshed. Usually when this happens, it’s an Ajax-based function that fails.

한 가지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가끔 크롬을 쓰면서 겪었던 겁니다. 한 번 페이지가 응답을 멈추면, 페이지를 새로고침(refresh)해줘야만 다시 응답을 시작하는 것이었습니다. 보통 이런 현상은 Ajax기반 기능들이 오작동 했을 때 일어납니다.

In the experience with Alex, it was a form function that was using Ajax to update some data. It wouldn’t respond (as it should have) to a button click, so I told him to refresh the page, after which it started working as expected. I admitted to him that while I did find Chrome to be overall much faster and more stable than Internet Explorer, this problem did occur on occasion.

알렉스가 써봤을 땐, 몇 가지 데이터를 업데이트 시킬 때 작동하는 Ajax기반 폼기능(Form function)이 문제였습니다. 버튼을 눌렀을 때 반응하지 않았고(반응했어야 하지만), 결국 예상대로 오작동하기 시작하자, 저는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라고 말했습니다. 제가 크롬이 IE보다 훨씬 빠르고 안정적이라고 그에게 말하긴 했지만, 이 문제가 종종 일어나는 건 인정할 수 밖에 없었어요.

That didn’t sit well with him, but I had to be honest. No browser is perfect, and this was unfortunately something from my own experience with Chrome. And the fact that it happened on Alex’s computer as well as on my own computer strongly suggests that it is a problem with Chrome (or at the very least, earlier versions of it).

그에게 썩 맘에 들지 않는 일이었지만, 전 솔직해야 했습니다. 완벽한 브라우저는 없고, 또한 크롬을 쓸 때 운나쁘게도 가끔 내 컴퓨터에서 일어나는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내 컴퓨터에서 일어난 것처럼 알렉스의 컴퓨터에서도 똑같은 현상이 벌어졌다는 건, 바로 크롬의 문제라는 걸 뜻했습니다. (아니면 아주아주 최소한으로라도, 이전 버전은 그랬다는 겁니다.)

“Have you heard of Firefox? Opera? Safari?”

“파이어폭스나 오페라, 사파리는 들어본 적 있어?”

When I asked him about other browsers like Firefox, Safari and Opera, the only one he had heard of was Firefox.

제가 그에게 파이어폭스나 사파리, 혹은 오페라 같이 다른 브라우저들에 대해 물어봤을 때 오직 파이어폭스만이 그가 들어본 적이 있는 것이었습니다.

“Whenever I go on vacation and go to an internet cafe or something, there’s no big blue ‘e’, so I’m forced to use Firefox,” he explained.

“내가 휴가를 떠나거나 인터넷 카페를 가거나 다른 무엇을 하든, 언제든간에, 항상 거기엔 큰 파란 ‘e’가 없었어. 그래서 파이어폭스를 쓸 수 밖에 없었지.” 그가 말했습니다.

I inquired further, because I knew he didn’t understand why that was the case.

저는 좀 더 물어봤습니다. 왜냐면 그가 왜 그런 상황이었는지 이해하지 못한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에요.

“So why do you think they only have Firefox when you’re on vacation?”

“그렇다면, 왜 휴가갈 때마다 파이어폭스밖에 없었는지 알아?”

“I don’t know, I just assumed that’s how people in those countries access the internet.”

“나야 모르지. 그냥 생각하기를, 그 나라 사람들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이 그렇구나 싶었지.”

알렉스는 파이어폭스를 큰 파란'e'의 해외버전(international version) 정도로 생각했습니다.

So in Alex’s mind, the orange and blue fox logo was the international equivalent to the big blue “e”. It was slowly becoming clear that the technologies we work with are not as user-friendly and understandable as we would hope.

그러니까 알렉스의 머릿속에는, 노랗고 파란색의 파이어폭스로고가 큰 파란’e'의 해외버전일 뿐 사실은 둘이 서로 같은 것이었던 겁니다.
우리의 작업과 기술들이, 우리가 원하는 만큼과는 다르게, 사실은 사용자 친화적(user-friendly)이지 않고,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라는 게 천천히 확실해 졌습니다.

“Would you consider using Chrome after this experience?”

“음, 써보고 나서, 계속 크롬을 쓸 생각은 있어?”

When I was finished conducting my little impromptu user test, I asked him if he would seriously consider using Chrome from this point on for his day-to-day browsing. I further cemented the point that Chrome really was a superior browser, and that, if he switched, he would enjoy his experience on the web much more.

이렇게 소규모로 행해진 즉석 사용자 테스트를 마치고나서, 저는 그에게 물었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크롬을 매일 사용하는 주 브라우저로서 사용할 생각이 있냐고. 저는 크롬이 정말 뛰어난 브라우저라고 다시 한 번 힘주어 언급했습니다. 그리고 만일 그가 크롬으로 바꾼다면, 훨씬 편리하고 즐거운 웹브라우징을 즐길 수 있을거라고도 말했죠.

At that time, he wasn’t completely sure what he would do. He said he would consider it, but the problem we had with the page not responding properly was still holding him back from making any definite decision to leave Internet Explorer.

그 때 당시엔, 그는 어떻게 해야 할 지 확실히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그는 생각해보겠지만, 아까 겪었던 페이지가 응답하지 않는 문제 때문에 IE를 버려야 할 지는 확실히 결정하기 힘들다고 말했습니다.

After a couple of weeks…

2주 후

A few weeks after having this experience with Alex, I asked him if he had tried Chrome again. He said he did and he particularly liked the way that Chrome lets you search from the address bar, simplifying the process of visiting different sites. So it seems that he has warmed up to Chrome a little bit, and may end up using it regularly.

알렉스와의 에피소드가 있은 지 몇 주 후에, 저는 그에게 크롬을 써봤냐고 다시 한 번 물어봤습니다. 그는 크롬이 주소창에서 바로 검색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 특히나 마음에 들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방문했던 다른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식도 훨씬 간결해서 좋다고 했습니다. 그는 크롬에 어느 정도 익숙해진 것 같았고, 아마 결국엔 주 브라우저로 쓰게 될 것으로 보였습니다.

How can we improve education among average Web users?

일반적인 웹 사용자들의 수준을 어떻게 하면 끌어올릴 수 있을까요?

For those reading this and wondering about Alex’s age and previous experience with computers, it’s actually not all that bad. Alex is in his late 30s and has been using PCs for years. He does photography as a hobby so he’s often on his computer organizing and editing his photos. He currently owns a desktop PC and a laptop, so computers are not something new or foreign to him.

지금 이 글을 읽는 독자분들과, 알렉스의 나이를 궁금해 하는 분들, 그리고 비슷한 경험을 했던 분들, 이 분들이라면 사실 그닥 나쁜 편은 아닙니다. 알렉스는 30대 후반이고, 컴퓨터를 사용한지는 몇 년 됐습니다. 그는 사진찍기가 취미라서, 사진을 정렬하고 편집하는 데 컴퓨터를 사용합니다. 현재 데스크톱PC와 노트북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컴퓨터는 그에게 새롭거나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I really don’t have any definite suggestions to help improve this situation, and I’m not even sure it can be improved. If younger generations still don’t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browser” and “search engine” or between “internet” and “web”, then it could be our education system that is to blame.

저는 정말 이런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 같은 건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그럴 수 있다는 확신도 없구요.
젊은 세대가 아직도 브라우저와 검색사이트의 차이점이나 인터넷과 웹의 차이점이 뭔지 모르고 있다면, 그건 우리 교육 시스템의 문제라고 비판해야 할 겁니다.

If the older generation doesn’t get it, then that could just be a result of people’s tendency to be “set in their ways”, as they say. Or it could just be that these technologies are built in such a way as to assume too much knowledge in behalf of the user. After all, how many people do you know that can’t tell you the difference between a TV set and a TV show?

나이드신 분들이 잘 모르고 있다면 그건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보수적인 성향, 단지 그것 때문일 겁니다. 어르신들이 흔히 말하듯이 말이죠. 아니면, 지금의 기술들이, 사용자들이 훨씬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그렇게 과대평가하고서 만들어졌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어쨌든 간에, 텔레비전과 텔레비전쇼의 차이점을 모르는 사람들을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Although I did in a very simple way express to Alex that websites will look and function better in Chrome than they would in IE8, I did not try to explain any specific reasons why (other than speed and screen real estate). If he can’t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a browser and a search engine, then it’s extremely unlikely that a discussion of HTML5 and CSS3 would have any effect on him.

제가 알렉스에게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웹 사이트들이 IE8보다 구글에서 더 잘 보일 것이라고 설명은 했습니다만, 좀 더 구체적인 것들(속도랑 화면넓이외에)은 설명하려고 하지 않았어요. 그가 브라우저와 검색사이트의 차이점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HTML5와 CSS3가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토론을 하는 것은 정말 무리수가 될테니까요.

I think it was adequate enough to just explain that things work better and make some general statements about things he might be interested in. But who knows? Maybe something more specific would have helped. I suppose I could have shown him a website that uses CSS3 heavily and had him compare the experience.

제가 생각하기엔, 그리고 그냥 이게 좀 더 좋다고 설명해주는 것만으로도 하기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가 좋아할 만한 것들에 대해 일반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겁니다. 하지만 누가 알겠어요? 때때로는 좀 더 구체적인 것들이 먹힐 수도 있겠죠. 제 생각엔, 무거운 CSS3를 사용한 사이트를 보여주고, 한 번 비교해보라고 시켜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But, in Alex’s own words, he just wanted to “get from A to B”. That is, he just wanted to get things done. So it was unlikely that he would be swayed by seeing rounded corners and drop shadows. Those things had nothing to do with why he was on the internet in the first place, so why should he care?

하지만 알렉스의 경우엔, 그저 인터넷을 쓸 도구를 원했습니다. 즉, 그냥 단순히 작동되는 걸 원했어요. 그래서 둥근 모서리나 그림자 효과등에 좌우되기엔 어려워 보였습니다. 그런 것들은 인터넷에 가장 빨리 접속하는 데에는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하니까요. 그가 왜 그런걸 신경써야 하죠?

This was not a scientific study!

이건 연구결과가 아닙니다.

This was a one-off experiment, and nothing more. As web developers, I think in the backs of our minds we know this happens with many users. They don’t understand the internet and the web the way we do. This little experience with Alex just serves to illustrate this point, even if only in a superficial way.

그냥 일회성 실험일 뿐, 그 이상의 의미는 없습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이런 것들을 겪고 있다는 점, 웹 개발자로서 우리 모두가 알고 있을거라 생각해요. 사용자들은 인터넷과 웹을 우리들이 이해하는 것처럼 이해하지 않습니다. 알렉스가 보여준 이 작은 에피소드는 비록 피상적일지는 모르지만, 요점을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Do you think this sort of thing is common with web users? Do you think even experienced web-savvy users have trouble understanding terms like “browser” and “internet”? What can we do to improve this situation?

이런 일들이 웹 사용자들에게 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심지어 웹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사용자들도 브라우저와 인터넷 같은 의미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다고 생각하시나요? 이런 상황을 개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This post was written exclusively for Webdesigner Depot by Louis Lazaris, a freelance writer and web developer. Louis writes regularly about front-end development on Impressive Webs. You can follow Louis on Twitter or get in touch with him through his website.

이 포스트는 프리랜서 작가이자 웹 개발자인 루이스 라자리스(Louis Lazaris)에 의해 독점적으로 쓰여진 글입니다. 루이스는 Impressive Webs에 프론트-엔드 개발에 대한 글을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그의 Twitter를 팔로하거나 웹사이트를 통해서 그를 만날 수 있습니다.

Have you ever tried to get a user to switch to a browser other than Internet Explorer? Share your experience in the comments.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2

Latest Images

Trending Articles





Latest Images